매년 이맘때쯤이면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복지 정책에 관심이 있거나, 정부 지원 혜택을 받고 계신 분이라면 익숙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막상 “중위소득이 뭔가요?”라고 물어보면 대답하기 어려운 용어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내용과 함께,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세전 기준으로 어떻게 산정되는지까지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
Contents
기준 중위소득이란? 간단하고 쉽게 설명드립니다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 가구를 소득 순으로 일렬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1호)
쉽게 말해, “소득이 절반보다 많은 가구가 50%, 적은 가구가 50%”인 소득의 중심값(median)입니다.
이 중위소득은 정부의 복지제도 기준선으로 사용되며,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수급 자격 판단에 활용됩니다.
또한, 고용지원, 국가장학금, 청년저축계좌, 에너지 바우처 등 80개 이상의 복지 및 지원사업의 자격 요건이 중위소득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계산 방법
계산하는 방법은 통계청이 공표하는 ‘가계 경상소득’의 중간값을 기초로 하여,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 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해 가구원 수별로 산정됩니다.(「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6조의2제1항).
- 기준 중위소득 = 전년도 기준 중위소득 × (1 + 기본증가율) × (1 + 추가증가율)
- 기본증가율 : 최근 3년간 가계금융복지조사 중위소득 증가율 평균
- 추가증가율: 2026년까지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보정 인상률
이러한 계산을 거쳐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이 매년 결정되며,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 등 복지급여의 수급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경상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의 기초가 되는 가구 경상소득은 아래 네 가지 소득을 합산한 세전 총소득입니다.
- 가구 경상소득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이전소득
구분 | 설명 |
---|---|
근로소득 | 월급, 상여금, 수당 등 |
사업소득 | 자영업, 프리랜서 등 독립적 경제활동 수입 |
재산소득 | 이자, 배당, 임대소득 등 자산에서 발생한 수익 |
이전소득 | 국민연금, 기초연금, 아동수당, 생계급여 등 공적이전소득 |
이 경상소득의 중간값을 중심으로 경제 상황을 반영한 증가율과 가구 규모 조정 계수를 적용해 최종적으로 ‘기준 중위소득’이 확정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금액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월 649만 4,738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도인 2025년(609만 7,773원) 대비 6.51% 인상된 수치로, 역대 최고 인상률입니다.
가구원 수 | 2025년 중위소득 | 2026년 중위소득 | 인상률 |
---|---|---|---|
1인 가구 | 239만 2,013원 | 256만 4,238원 | 7.20% |
2인 가구 | 393만 2,658원 | 419만 9,292원 | 6.78% |
3인 가구 | 502만 5,353원 | 535만 9,036원 | 6.65% |
4인 가구 | 609만 7,773원 | 649만 4,738원 | 6.51% |
5인 가구 | 710만 8,192원 | 755만 6,719원 | 6.30% |
6인 가구 | 806만 4,805원 | 855만 5,952원 | 6.10% |
특히 1인 가구의 인상률이 7.2%로 가장 높게 책정된 것은 복지 수급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 오르면 우리 생활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 복지 수급 기준이 완화됩니다
- 중위소득이 높아지면 기준 이하 가구의 숫자가 늘어나고, 더 많은 사람이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등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실제 급여액도 증가합니다
-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32% 이하일 경우 대상이 되며, 이 기준이 인상되면 지급받는 금액도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는 2025년 기준 76만 원에서 2026년엔 82만 원으로 약 5만 원 늘어났습니다.
- 청년,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주목해야 합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도약계좌, 국가장학금, 산재보험 등 다양한 제도에서 중위소득 비율에 따라 자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기준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활용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 숫자가 아닙니다. 이 수치 하나로 수십 개의 정부 복지제도와 지원사업의 자격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내 소득이 몇 퍼센트 수준인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원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복지급여 수급 기준
정부의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기준 중위소득 비율에 따라 수급 자격이 결정됩니다. 각 급여별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기준 중위소득 (100%) |
2,564,238 | 4,199,292 | 5,359,036 | 6,494,738 | 7,556,719 | 8,555,952 |
생계급여 (32%) |
820,556 | 1,343,773 | 1,714,892 | 2,078,316 | 2,418,150 | 2,737,905 |
의료급여 (40%) |
1,025,695 | 1,679,717 | 2,143,614 | 2,597,895 | 3,022,688 | 3,422,381 |
주거급여 (48%) |
1,230,834 | 2,015,660 | 2,572,337 | 3,117,474 | 3,627,225 | 4,106,857 |
교육급여 (50%) |
1,282,119 | 2,099,646 | 2,679,518 | 3,247,369 | 3,778,360 | 4,277,976 |
- 생계급여: 기본적인 생활 필수품을 지원하여 생활 유지를 돕습니다.
- 의료급여: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 주거급여: 주거 안정을 위해 임차료나 수선비 등을 지원합니다.
- 교육급여: 학생들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입학금, 수업료 등을 지원합니다.
복지로 웹사이트에서는 소득 및 재산 항목을 입력하여 복지 혜택 자가진단이 가능합니다.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복지급여 신청과 관련된 개인별 자세하고 정확한 사항은 주민센터에서 상담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초생활보장사업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별도로 포스팅했으니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정부 지원사업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외에도 무려 80개 이상의 정부 정책과 지원사업 기준선으로 사용됩니다.
주요 활용 사례: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60% 이하), 취업훈련 생계비
- 교육부: 국가장학금 (기준 중위소득 200~300% 이하), 교육급여
-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 (200% 이하), 청소년 부모 양육지원
- 보건복지부: 에너지바우처, 기초연금, 긴급복지지원제도 등
※ 예시: 중위소득 100% 이하일 경우 국민취업지원제도 유형 Ⅰ에 해당해 월 3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을 6개월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60% | 1,538,543 | 2,519,575 | 3,215,422 | 3,896,843 | 4,534,031 | 5,133,571 |
100% | 2,564,238 | 4,199,292 | 5,359,036 | 6,494,738 | 7,556,719 | 8,555,952 |
120% | 3,077,086 | 5,039,150 | 6,430,843 | 7,793,686 | 9,068,063 | 10,267,143 |
150% | 3,846,357 | 6,298,938 | 8,038,554 | 9,742,107 | 11,335,079 | 12,833,928 |
180% | 4,615,628 | 7,558,726 | 9,646,264 | 11,690,528 | 13,602,094 | 15,400,713 |
재무설계와 재테크에도 응용
이는 내 가구 소득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는 기준으로도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 내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인지를 알면,
- 정부 정책 수혜 가능성과 세금/보험 혜택 등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재무 목표 설정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예: “내 가구 소득을 중위소득 15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자.”
마무리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국가 복지정책과 우리의 생활이 맞닿는 기준선입니다. 특히 정부 지원을 검토하고 계신 분들이나, 재테크 전략을 고민하는 분들께는 꼭 챙겨야 할 정보입니다.
👉 내 가구가 기준 중위소득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 그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원과 활용 가능한 제도를 검토해보는 것이 가장 실용적인 경제 전략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준 중위소득이란? 뜻 계산 금액 60% 100% 120% 150%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